문화재 종목별 검색
사적
경주 남산 일원 (慶州 南山 一圓)Archaeological Area of Namsan Mountain, Gyeongju
분 류 | 유적건조물 / 유물산포지유적산포지 / 유적분포지 |
---|---|
수량/면적 | 25,439,329㎡ |
지정(등록)일 | 1985.02.23 |
소 재 지 | 경북 경주시 인왕동 외4개동,경주군내남면용장리외2개리 |
시 대 | 삼국시대 |
소유자(소유단체) | 경주시 등 |
관리자(관리단체) | 경주시 |
경주 남산은 금오산이라고도 하며, 신라 천년의 역사를 통해 가장 신성시 되어왔던 곳이다. 수많은 전설과 역사 유적들이 펼쳐져 있는 곳으로, 불교 관련 유적 뿐만 아니라 왕릉, 무덤, 궁궐터들이 남아있어 신라 문화의 집결체라고도 할 수 있다.
『삼국유사』에는 남산에서 나라일을 의논하면 반드시 성공하였다는 기록이 있는데, 그런 까닭에 남산에 얽힌 전설이 많은 편이다.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는 남산 기슭의 나정이라는 곳에서 태어났다고 하며, 남산의 산신이 나타나 헌강왕에게 신라의 멸망을 경고하였지만, 깨닫지 못하여 결국은 멸망하였다는 전설도 전해지고 있다.
주요 문화재로는 경주 남산 미륵곡 석조여래좌상(보물), 경주 포석정지(사적), 경주 남산신성(사적) 등이 있는데, 다양한 문화재가 곳곳에 산재해 있어 신라문화가 이곳에 집결된 느낌이 드는 곳이다.
이미지
경주 남산 일원_천룡사지 삼층석탑 (촬영년도 : 2015년)
경주 남산 일원_옥련암 (촬영년도 : 2015년)
경주 남산 일원_염불사지 삼층석탑 (촬영년도 : 2015년)
경주 남산 일원_삼릉계곡 선각육존불 (촬영년도 : 2015년)
경주 남산 일원_삼릉계곡 마애석가여래좌상 (촬영년도 : 2015년)
경주 남산 일원_삼릉계 석조여래좌상 (촬영년도 : 2015년)
경주 남산 일원_배동삼릉 전경 (촬영년도 : 2015년)
경주 남산 일원_배동 삼릉 (촬영년도 : 2015년)
경주 남산 일원 (촬영년도 : 2015년)
경주 남산 일원_남산 금오산 전경 (촬영년도 : 2015년)
경주 남산 일원_금오산 전경 (촬영년도 : 2015년)
경주 남산일원 지바위골 등산로 진입구 (고도보존육성과, 2017)
경주 남산일원 용장골 등산로 인근 서쪽상공(동쪽으로 조망) (고도보존육성과, 2017)
경주 남산일원 용장골 등산로 인근 남서쪽상공(북동쪽으로 조망) (고도보존육성과, 2017)
경주 남산일원 배동 삼릉 인근 서쪽상공(동쪽으로 조망) (고도보존육성과, 2017)
경주 남산일원 배동 삼릉 인근 북쪽상공(남쪽으로 조망) (고도보존육성과, 2017)
경주 남산일원 경주 남산 전 염불사지 동/서 삼층석탑 (고도보존육성과, 2017)
삼능곡선각여래입상삼존불
삼능곡선각여래입상삼존불
삼능곡선각여래좌상전경
탑곡사방불동면불,보살,비천상
삼능곡관음보살입상
탑곡사방불북면쌍탑,여래좌상
삼능곡마애여래좌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