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 종목별 검색
사적
경주 황룡사지 (慶州 皇龍寺址)Hwangnyongsa Temple Site, Gyeongju
분 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사찰 |
---|---|
수량/면적 | 390,418㎡ |
지정(등록)일 | 1963.01.21 |
소 재 지 | 경북 경주시 구황동 320-1번지 |
시 대 | 신라 진흥왕 14년(553) |
소유자(소유단체) | 경주시 등 |
관리자(관리단체) | 경주시 |
황룡사는 신라 진흥왕 14년(553)에 경주 월성의 동쪽에 궁궐을 짓다가, 그곳에서 황룡(黃龍)이 나타났다는 말을 듣고 절로 고쳐 짓기 시작하여 17년 만에 완성되었다. 그 후 574년, 인도의 아소카왕이 철 57,000근·금 3만분으로 석가삼존불상을 만들려다 뜻을 이루지 못하고 금과 철, 그리고 삼존불상의 모형을 배에 실어 보낸 것이 신라 땅에 닿게 되자, 이것을 재료로 삼존불상을 만들게 되었는데, 5m가 넘는 이 불상을 모시기 위해 진평왕 6년(584)에 금당을 짓게 되었다. 선덕여왕 12년(643)에는 당나라에서 유학하고 돌아온 자장의 권유로 외적의 침입을 막기위한 바램의 9층 목탑을 짓게 되는데, 각 층마다 적국을 상징하도록 하였으며, 백제의 장인 아비지에 의해 645년에 완공되었다.
이와 같이 황룡사는 93년간에 걸친 국가사업으로 조성된 큰 절이었으며, 신라의 3가지 보물 중 천사옥대(天賜玉帶)를 제외한 2가지 보물이 황룡사 9층목탑과 장육존상이었다는 것에서도 황룡사가 차지하는 비중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신라의 땅이 곧 부처가 사는 땅'이라는 신라인들의 불교관이 잘 나타나 있는 곳이기도 하다.
그러나 황룡사는 고려 고종 25년(1238)에 몽고의 침입으로 모두 불타 없어져 지금은 그 흔적만 남아있다. 늪지를 메워서 그 위에 지은 황룡사는 중문·목탑·금당·강당이 남북으로 길게 배치된 1탑식 배치였다. 그러나 장육존상과 목탑 등이 조성된 후 금당 좌우에 작은 금당이 배치되는 1탑 3금당식으로 바뀌고, 탑의 좌우에 종루와 경루(經樓)가 대칭을 이루어 배치되었다. 또 사방은 복도와 같은 회랑으로 둘러싸여, 독특한 가람배치를 보이고 있다.『삼국유사』에 의하면 종루에는 거대한 종이 있었는데, 몽고가 침입했을 때에 없어진 것으로 보인다.
1976년부터 시작한 발굴조사에서 금동불입상·풍탁·금동귀걸이·각종 유리 등 4만여 점의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높이 182㎝에 이르는 대형치미는 건물의 웅장한 규모를 짐작하게 한다. 금당에는 솔거가 그린 벽화가 있었다고 전하며, 목탑지에서 발견된 당나라 백자항아리는 당시의 문물교류를 잘 알 수 있게 한다.
※(황룡사지 → 경주 황룡사지)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
이미지
경주 황룡사지_서편 당간지주 일부 (촬영년도 : 2015년)
경주 황룡사지_사천왕상 탑신 (촬영년도 : 2015년)
경주 황룡사지_사천왕상 탑신 일부 (촬영년도 : 2015년)
경주 황룡사지_발굴 석물4 (촬영년도 : 2015년)
경주 황룡사지_발굴 석물3 (촬영년도 : 2015년)
경주 황룡사지_발굴 석물2 (촬영년도 : 2015년)
경주 황룡사지_발굴 석물1 (촬영년도 : 2015년)
경주 황룡사지_목탑터 유구 (촬영년도 : 2015년)
경주 황룡사지_금당지기단 (촬영년도 : 2015년)
추정복원도
출토유물각종
출토유물각종
목탑지유구노출상태
황룡사지전경
방형대석
목탑지
지대석
삼존불상 지대석
황룡사지
도면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토취장① 종.횡단면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토취장 평면도/종단면도/횡단면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집토처리 종단면도/횡단면도/평면도 NO.3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집토처리 종단면도/횡단면도/평면도 NO.2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집토처리 종단면도/횡단면도/평면도 NO.1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정지 계획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석재 보조주초석다념ㄴ/기단석단면/보조주초석 평면/기단석 평면/기존주초석 단면/기촌주초석 평면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목탑지 평면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목탑지 정화 평면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목탑지 A-A 종단면도/탑구 및 기단 단면상세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목탑지 A-A 종단면 및 기타 상세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돌처리 종단면도/횡단면도 1, 2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금당지 하단 토공 정리 단면도, 금당지 하단 기단석 정리 단면도, 목탑지 하단 토공 정리 단면도, 목탑지 하단 기단석 정리 단면도, 동서 건물지 노견 상세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금당지 정화 평면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금당지 서편 건물지 현황도/목탑 동평 건물지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금당지 서편 건물지 정화 평면도/A-A 단면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금당지 서편 건물지 정화 평면도, 금당지 동편 건물지 정화 평면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금당지 동편 건물지 정화 평면도/A-A단면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금당 동편 건물지 현황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교각 및 석축 평면도, A-A’ 단면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교각 및 석축 평면 상세도, A-A’ 단면 상세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B-B, C-C 단면도3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B-B, C-C 단면도2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B-B, C-C 단면도1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A-A’ 단면 상세도, 옹벽 배근도, B-B’ 단면도, C-C’ 단면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A-A 단면도4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A-A 단면도3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A-A 단면도2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A-A 단면도1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A 단면도, B 단면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화공사 (가) 부분 상세도, 계단석 주두 상세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비공사 횡단면도4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비공사 횡단면도3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비공사 횡단면도2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비공사 횡단면도1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비공사 황룡사지 현황 평면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비공사 황룡사지 배치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비공사 트랜치 위치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비공사 종단면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비공사 발굴 평면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비공사 대지(공사부분) 구적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비공사 당간지주지 상세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비공사 남문지 상세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비공사 공사계획 평면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비공사 D건물지 상세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비공사 C건물지 상세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비공사 B건물지 상세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비공사 A건물지 상세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비공사 (9)건물지 저장공 평면 단면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비공사 (7)/(8) 건물지 평면 단면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비공사 (5)/(6) 건물지 평면 단면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비공사 (3)/(4) 건물지 평면 단면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비공사 (14)/(15) 건물지 평면 단면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비공사 (12)/(13) 건물지 평면 단면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비공사 (10)/(11) 건물지 평면 단면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정비공사 (1)/(2) 건물지 평면 단면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구층목탑 조성비 건립공사 조성비 평면/정면/측면/단면/A상세도
도면_사적 _경주 황룡사지_구층목탑 조성비 건립공사 배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