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궐·종묘 궁궐 이야기 궁궐의 새
기능버튼모음
본문

궁궐의 새

  • 인쇄
1. 궁궐을 찾는 새의 중요성

문화유산으로서 조선시대 궁궐의 가치는 전 세계 어느 문화재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으며 500년을 이어온 왕실의 문화와 역사가 고스란히 살아 있는 곳이다. 나라의 안녕과 번성의 원천이 되는 장소였고 역사의 태동이 여기에서 이루어졌다. 궁궐이 조선 왕조의 심장과 같은 구실을 했다면 궁궐 후원의 숲은 허파와 같은 구실을 했다. 수백 년이 흐른 지금도 창덕궁 후원과 종묘 신림의 식생들은 서울이라는 거대 도시에서 남산, 북한산과 더불어 녹지 띠를 형성하여 살아 있는 생태 축으로서 구실을 하고 있다.

  • 굴뚝새
  • 까치

새들이 깃들기 위해서는 새끼를 치며 사는 터와 쉬는 터, 먹이 터 등 다양한 환경조건이 필요하고, 이와 더불어 새들이 마음 놓고 살아갈 수 있는 삶의 공간이 충분해야 한다. 이런 점에서 궁궐은 하나의 작은 생태 마당을 완벽하게 구현하고 있다.

창덕궁 등 궁궐에서 1년 내내 서식하거나 번식하는 새는 100여 종이 되는데, 텃새 20종, 여름철새 31종, 겨울철새 21종, 나그네새 17종이 관찰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관찰, 기록되고 있는 새가 450여 종이라는 사실을 감안한다면 꽤 많은 새들이 궁궐을 찾고 있는 것이다.

새에 관한 사람들의 느낌이나 생각은 시대나 지역을 초월하여 공통된 부분이 있으며, 관념에 따라 신화·전설·민속·무속·풍습·역사·문학·도상 등에서 무한한 상징성을 담고 있다.

자연과 하나되는 마음을 추구했던 우리 조상들은 자연물과 교감함으로써 감정을 표현하거나 심상을나타냈는데 그 가운데서도 새가 인간의 감정과 심상을 가장 잘 나타낸다고 인식하였다 한다. 새를 단순히 날짐승으로만 보지 않고 신앙의 대상으로 삼아 성구나 속담을 통해 여러 가지 교훈을 상징하기도 하고 농사의 풍흉과 인사의 길흉화복을 예지하기도 했다. 또한 왕뿐만 아니라 여러 선비들이 건전한 사냥 문화로 애용하고 즐기기도 했다.

따라서 새는 우리 민족의 보편적인 한의 정서를 담는 소중한 자연유산입니다. 우리 조상들이 풀 뿌리,벌레 한 마리도 소중하게 다루었듯이 새의 문화적인 의미를 되새기면서 잘 살펴보자.

2. 새 관찰 요령과 주의할 사항
  • 새는 시력이 좋고 주위를 항상 조심스럽게 살피며 아주 빠르게 움직이므로 가까이 다가서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새가 놀라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10~30미터 떨어져서 관찰합니다.
  • 배율이 7~8배인 쌍안경을 사용하여 부리, 머리, 다리, 꼬리, 발, 날개의 상태나 움직이는 모습을 자세히 살펴 독특한 특징을 익힙니다.
  • 궁궐을 관람하다가 새 소리가 들리면 두리번거리며 새를 찾기보다는 설명글에 쓰인 새의 울음소리와 대조하여 아름다운 소리를 감상합니다.
  • 우리에게 보이는 새는 대개 쉬고 있거나 먹이를 먹고 있을 때입니다. 새가 날아가는 모습을 보기 위해 돌을 던지거나 소리를 지르면 먹이를 먹지 못하고 정신적으로 불안정한 상태가 되어 새끼를 낳지 못하거나 다시는 궁궐을 찾아오지 않으므로 이런 행동은 삼가야 합니다.
3. 새의 분류
  • 텃새-우리나라에서 번식하며 일년 내내 떠나지 않고 사는 새
  • 여름철새-봄에 번식을 위해 우리나라로 날아오고 번식한 후 가을에 남쪽으로 날아가 겨울을 나는 새
  • 겨울철새-북쪽에서 번식하고 가을에 우리나라로 날아와서 겨울을 나는 새
  • 나그네새-우리나라에서 번식은 하지 않고 봄가을에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새
4. 새의 각 부분
새의 각 부분
궁궐의새 브로슈어 이미지 궁궐의 새 PDF 다운로드
  • 사진 : 장석신(사진가)
  • : 백운기(조류학박사)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