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판 설명 종합안내판 광주 신창동 유적
光州 新昌洞 遺蹟
국가사적
이곳은 기원전 1세기경 초기철기시대 벼농사를 기반으로 하는 생산과 생활, 무덤의 실상을 알려주는 거대한 복합농경유적이다. 특히, 우리나라 최초로 계획적인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저습지에서는 무기류, 농공구, 용기류, 생활용품, 방직구, 수레부속구, 악기류, 건축부재 등 다양한 목기와 칠기, 여러 형태의 토기, 각종 동식물 유체 등이 많이 출토되었다. 이중 비단, 현악기, 북, 수레바퀴, 발화구 등 많은 유물은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확인된 것으로 학술적 중요성을 국내외에 인정받고 있다. 이러한 유물은 저습지 주변에서 확인된 논과 밭, 주거지와 환호, 옹관묘 등과 함께 당시 문화를 종합적이고 구체적으로 복원할 수 있게 되었다.
국가유산 설명 광주광역시 광산구 신창동 영산강 유역 낮은 평야지대에 자리한 초기 철기시대의 늪과 못터, 토기가마터, 배수시설, 독무덤(옹관묘) 등 고대 농경문화와 생활유적이 있는 곳이다.
독무덤은 53기가 발견되었고, 그 안에서 토기와 철기류 유물이 출토되었다. 이 지역 독무덤은 영산강 유역 삼국시대 독무덤 계보가 선사시대까지 올라가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그 가치가 크다.
늪과 못터에서 토기, 목제, 석기 등의 유물이 나왔는데, 특히 빗, 괭이, 나무 뚜껑과 같은 목제유물들은 당시 생활모습을 알려 준다는 점에서 가치가 크다. 이와 함께 불탄쌀, 볍씨, 살구씨와 같이 농경문화를 짐작할 수 있는 것들도 발견되었고, 터에서는 토기 제작기술의 발전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움집터에서는 바닥 가운데에 타원형 화덕을 설치하였다.
이 유적은 초기 철기시대 생활문화연구와 농경생활의 흔적을 찾아볼 수 있고 목제 유물을 통해 당시 생활상을 엿볼 수 있어 중요하다.
Located on a low incline of Yeongsangang River, these ruins have various heritages related to the ancient farming culture such as old swamp and pond sites, kiln site to fire earthenware, draining waterways, house sites, and jar coffin tombs from the beginning of the Iron Age. Various earthenware and ironware pieces were excavated when 53 jar coffin tombs of children were found. The discovery of these jar coffin tombs is remarkable since the custom of jar coffin tomb in the Three Kingdoms Period on this riverside originated in the Prehistoric Age. Many earthenware, wood work, and stoneware pieces were excavated from the old marsh and pond sites. Interestingly, many of the wooden artifacts such as various tools like combs, hoes, and barrel covers were found for the first time in our country. Together with these heritages, some references to the farming culture such as carbonized rice, rice seed, and apricot stone were found, with the earthenware demonstrating outstanding manufacturing technique. At the house site of a dugout, an oval-shaped fireplace was installed on the center floor. These ruins provide very important evidence of the farming life and living culture in the beginning of the Iron Age as well as the prehistoric archaeology of this age, for which sufficient evidence has yet to be uncovered.
光州新昌洞遗址位于光州广域市光山区新昌洞荣山江流域低矮平野地带,内有铁器时代初期的沼泽与池址、陶窑址、排水设施、瓮棺墓等古代农耕文化与生活遗址等。共发现了53座瓮棺墓。墓内出土了陶器与铁器类遗物。证明了这一带的瓮棺墓是荣山江流域三国时代的瓮棺墓的谱系,可以追溯到史前时代,具有很高的价值。新昌洞遗迹是研究铁器时代初期生活文化、寻找到农耕生活痕迹的遗址。通过出土的木制遗物可以了解到当时的生活面貌,因此非常重要。
光州広域市光山区新昌洞栄山江流域の低い平野地帯にある初期鉄器時代の沼と池の跡・土器窯跡・排水施設・甕棺墓など古代農耕文化と生活遺跡が残っている所である。甕棺墓は53基が発見され、その中から土器と鉄器類の遺物が出土された。この地域の甕棺墓は栄山江流域における三国時代の甕棺墓の系譜が先史時代にまで遡ることを意味するため、その価値は大きい。この遺跡は初期鉄器時代における生活文化の研究と農耕生活の痕跡を窺うことができ、木製遺物を通して当時の生活相を窺うことができるため重要であ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