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경복궁이야기

  • 인쇄
교태전

이곳은 조선 왕비의 공간인 교태전입니다. 교태란 ‘음’과 ‘양‘의 조화를 뜻하지요. 조선의 왕비는 국모였습니다. 그 인생은 세자빈이 되는 순간부터 시작된다고 볼 수 있지요. 세자가 10살 전후가 되면 조선왕실에서는 세자빈을 간택했습니다. 세자빈을 뽑을 때 가장 중시한 것은 ‘덕망’과 ‘기품’이었습니다. 대비와 왕비를 비롯한 왕실 어른들은 규수들이 음식 먹는 모습, 말하는 모습 등을 세심하게 살폈습니다. 그러나 정작 신랑이 될 세자는 이 과정에 간여할 수 없었습니다. 세자빈으로 간택된 규수는 곧장 세자빈 교육과정을 밟습니다. 그리고 좋은 날을 잡아 가례를 올렸습니다. 이때 세자빈은 나무 기러기 한 쌍을 받습니다. 기러기는 평생 짝을 바꾸지 않을 정도로 금슬이 좋은 새라고 합니다. 기러기처럼 세자와 세자빈 역시 백년해로하라는 뜻이지요. 가례를 치렀지만 아직은 형식적인 부부입니다. 정식으로 합방을 하게 되는 것은 두 사람이 15, 6세가 되었을 무렵입니다. 일단 궁에 들어오게 된 어린 세자빈은 언제 친정을 방문할 수 있을지 기약할 수 없었습니다. 얼마나 슬프고 무서웠을까요? 교태전 뒤뜰에는 ‘아미산’이라는 작은 후원이 있습니다. 조선 왕비들이 바라보며 마음을 달래던 아미산을 한번 둘러보시지요.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