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대 | 왕대별 | 역사적 사실 |
---|---|---|
1392년 | 태조 1 | 조선개국, 태조의 4대 조상을 왕으로 추존함 |
1394년 | 태조 3 | 한양 천도 결정 경복궁 : 궁궐 조성 시작 종묘 : 종묘 조성 시작 |
1395년 | 태조 4 | 경복궁 : 궁궐 중심전각 완공(390여 칸) 종묘 : 종묘 완공 / 정전, 신실 7칸 좌우 익실 각각 2칸 규모 / 정전에 추존 4대 신주 봉안 |
1398년 | 태조 7 | 경복궁 : 궁궐 담장(궁장) 완공 |
1405년 | 태종 5 | 창덕궁 : 궁궐 조성 시작 |
1406년 | 태종 6 | 창덕궁 : 후원 조성 |
1411년 | 태종 11 | 창덕궁 : 금천교 건립 |
1412년 | 태종 12 | 경복궁 : 경회루 중건 창덕궁 : 돈화문 건립 |
1418년 | 세종 즉위 | 창경궁 : 상왕전(태종)으로 수강궁 창건 |
1421년 | 세종 3 | 종묘 : 영녕전 건립. 신실 6칸규모 |
1427년 | 세종 9 | 경복궁 : 동궁(자선당) 건립 |
1438년 | 세종 20 | 경복궁 : 흠경각 건립 / 선원전 건립 |
1443년 | 세종 25 | 경복궁 : 교태전 건립 |
1462년 | 세조8 | 창덕궁 : 후원 본격 확장 |
1483년 | 성종 14 | 창경궁 : 수강궁 터에 창경궁 창건 |
1494년 | 연산 즉위 | 창덕궁 : 후원 꾸밈 |
1546년 | 명종 1 | 종묘 : 정전 11칸으로 증축 |
1554년 | 명종 9 | 경복궁 : 화재로 소실된 강녕전, 사정전, 흠경각 복구 |
1592년 | 선조 25 | 임진왜란으로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종묘 소실 |
1593년 | 선조 26 | 덕수궁 : 월산대군의 저택을 임시 궁궐로 삼고, '정릉동 행궁'이라 부름 |
1608년 | 선조 41 광해 즉위 |
덕수궁 : 선조 석어당(추정)에서 승하 / 광해군 즉조당(추정)에서 즉위 종묘 : 정전 11칸, 영녕전 10칸 규모로 증건 |
1610년 | 광해 2 | 창덕궁 : 재건하여 법궁으로 삼음 |
1611년 | 광해 3 | 광해군 덕수궁(정릉동 행궁)에서 창덕궁으로 옮김 / 정릉동 행궁을 '경운궁'이라 칭함 / 광해군 경운궁으로 다시 옮김 |
1615년 | 광해 7 | 광해군 창덕궁으로 다시 옮김 |
1616년 | 광해 8 | 창경궁 : 중건 |
1618년 | 광해 10 | 덕수궁 : 인목대비를 폐위하여 석어당에 유폐 |
1623년 | 광해 15 인조 즉위 |
창덕궁 : 인조반정으로 전각 대부분 소실 창경궁 : 인조반정으로 동궁인 저승전과 내전 일대 소실 덕수궁 : 인조 즉조당(추정)에서 즉위 / 창덕궁으로 옮김 |
1624년 | 인조 2 | 창경궁 : 이괄의 난으로 통명전, 양화당 등 소실 |
1633년 | 인조 11 | 창경궁 : 통명전, 양화당 등 중건 |
1636년 | 인조 14 | 창덕궁 : 후원 옥류천에 소요정, 청의정, 태극정 건립 |
1647년 | 인조 25 | 창덕궁 : 선정전, 대조전, 희정당 등 소실된 건물 중건 |
1667년 | 현종 8 | 종묘 : 영녕전 12칸으로 증축 |
1704년 | 숙종 30 | 창덕궁 : 후원에 대보단 조성 |
1726년 | 영조 2 | 종묘 : 정전 15칸으로 증축 |
1776년 | 정조 즉위 | 창덕궁 : 후원에 규장각 설치 |
1777년 | 정조 1 | 창경궁 : 자경전 건립 |
1790년 | 정조 14 | 창경궁 : 통명전 소실 |
1803년 | 순조 3 | 창덕궁 : 인정전 소실 |
1804년 | 순조 4 | 창덕궁 : 인정전 재건 |
1830년 | 순조 30 | 창경궁 : 환경전에서 발생한 화재로 내전 일대 소실 |
1833년 | 순조 33 | 창덕궁 : 대조전, 희정당 등 소실 |
1834년 | 순조 34 | 창덕궁 : 대조전, 희정당 등 재건 창경궁 : 통명전, 환경전 등 소실된 전각 재건 |
1836년 | 헌종 2 | 종묘 : 정전 19칸으로 증축 / 영녕전 16칸으로 증축 |
1857년 | 철종 8 | 창경궁 : 선인문, 위장소, 주자소 등 60여 칸 소실 |
1865년 | 고종 2 | 경복궁 : 중건 시작 |
1867년 | 고종 4 | 경복궁 : 중건 완공 |
1873년 | 고종 10 | 경복궁 : 건청궁 창건 |
1876년 | 고종 13 | 경복궁 : 교태전, 자경전 등 내전 830여 칸이 화재로 소실 덕수궁 : 강화도 조약 체결, 문호 개방 시작 |
1877년 | 고종 14 | 창경궁 : 수리 |
1882년 | 고종 19 | 창덕궁 : 임오군란, 성난 군중 창덕궁에 침입 |
1884년 | 고종 21 | 창덕궁 : 갑신정변, 개화파가 고종을 관물헌에 모심 |
1888년 | 고종 25 | 경복궁 : 소실된 전각 중건 |
1895년 | 고종 32 | 경복궁 : 건청궁에서 명성황후 시해사건 발생 |
1896년 | 고종 33 | 고종 러시아공사관으로 피신 |
1897년 | 고종 34 고종 광무 1 |
고종 러시아공사관에서 경운궁으로 돌아옴 덕수궁 : 대한제국 선포, 고종 황제 즉위 |
1904년 | 고종 광무 8 | 덕수궁 : 대화재로 중화전, 석어당, 즉조당, 함녕전 등 전각 소실 |
1905년 | 고종 광무 9 | 덕수궁 : 중명전에서 을사늑약 체결 |
1906년 | 고종 광무 10 | 덕수궁 : 대안문을 수리하고 대한문으로 개칭 |
1907년 | 순종 융희 1 | 덕수궁 : 순종 창덕궁으로 옮김 / 경운궁을 덕수궁으로 부르기 시작 |
1909년 | 순종 융희 3 | 창경궁 : 동ㆍ식물원 조성으로 궁궐 훼손 |
1910년 | 순종 융희 4 | 창덕궁 : 흥복헌에서 한일병합조약 체결 덕수궁 : 석조전 완공 |
1911년 | 창경궁 : 창경원으로 격하 | |
1915년 | 경복궁 : 조선물산공진회 개최로 전각 다수 철거 | |
1917년 | 창덕궁 : 대화재로 대조전 소실 | |
1919년 | 덕수궁 : 고종, 함녕전에서 승하 | |
1920년 | 창덕궁 : 경복궁의 일부 건물 헐어 대조전, 희정당 등 재건 | |
1926년 | 경복궁 : 조선총독부 청사 완공 창덕궁 : 대조전에서 순종 승하 |
|
1927년 | 경복궁 : 광화문 이건(移建) | |
1938년 | 덕수궁 : 석조전 서관 완공 / 이왕가미술관으로 개관 | |
1946년 | 덕수궁 : 석조전에서 미소공동위원회 열림 | |
1951년 | 경복궁 : 한국전쟁으로 광화문 소실 | |
1968년 | 경복궁 : 광화문 철근 콘크리트 건물로 복원 | |
1973년 | 종묘 : 영녕전 16실에 의민황태자(영왕) 신주 봉안 | |
1983년 | 창경궁 : 창경궁으로 환원 / 창경궁 복원 공사 | |
1989년 | 창덕궁 : 낙선재에서 이방자 여사, 덕혜옹주 별세 | |
1990~1999년 | 창덕궁 : 인정전 내행각ㆍ외행각 정비 및 복원 | |
1995년 | 경복궁 : 강녕전, 교태전, 흠경각, 함원전 복원 구 조선총독부 청사 철거 시작 종묘 :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
|
1996년 | 경복궁 : 구 조선총독부 청사 철거 완료 | |
1997 | 창덕궁 :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 |
1999년 | 경복궁 : 동궁(자선당, 비현각) 복원 | |
2001년 | 경복궁 : 흥례문, 영제교 복원 종묘 :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
|
2005년 | 경복궁 : 태원전 복원 | |
2006년 | 경복궁 : 건청궁 복원 | |
2007년 | 덕수궁 : 복원 시작 | |
2010년 | 경복궁 : 광화문 복원 | |
2019년 | 경복궁 : 흥복전 복원 덕수궁 : 광명문 이전 복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