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옥건물의 인상을 좌우하는 것이 바로 지붕이다 궁궐에는 대부분 기와지붕이지만 간혹 초가지붕도 있다. 지붕은 그 모양에 따라 "팔작지붕, 맞배지붕, 우진각지붕, 모임지붕"으로 나뉜다.
지붕 종류 | 사진 | 설명 |
---|---|---|
팔작지붕 | 한식(韓式) 가옥의 지붕 구조의 하나로, 합각(合閣)지붕, 팔작집이라고도 한다. 지붕 위까지 박공(牔栱)이 달려 용마루 부분이 삼각형의 벽을 이루고 처마끝은 우진각지붕과 같다. 맞배지붕과 함께 한식 가옥에 가장 많이 쓰는 지붕의 형태이다. ◁ 경복궁 근정전 |
|
맞배지붕 | 지붕의 완각이 잘려진 가장 간단한 지붕형식으로, 측면 가구(架構)가 노출되므로 측면관(側面觀)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형태이다. ◁ 종묘 정전 |
|
우진각지붕 | 옆지붕면이 삼각형 모양을 하여, 그 꼭지점이 용마루 끝에 닿은 형태로서 내림마루와 추녀마루가 하나의 선을 이루어 용마루 끝에서 추녀로 비스듬히 이어진다. ◁ 경복궁 광화문 |
|
모임지붕 | 주로 정자건축에 사용되는데, 평면의 형태에 따라 사모, 육모, 팔모, 원형지붕으로 나뉠 수 있다. 창덕궁 농수정은 사모지붕, 경복궁 향원정은 육모지붕 형태이다. ◁ 경복궁 향원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