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유산 의궤정보 소장기관
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소장기관

  • 인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 장서각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는 268종, 341건, 566책의 의궤가 소장되어 있다. 이 의궤들은 1981년 한국정신문화연구원(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이 문화재관리국 장서각 관리소에서 관할하던 왕실 전적을 위탁받는 과정에서 이관된 것으로, 조선시대 당시 적상산사고, 종묘서, 사직서, 예조 등에서 보관하던 것들이다.
     장서각 소장 의궤 중에서 유일본 의궤는 고본 의궤 8종 13책을 포함하여 모두 39종 56책이다. 또 어람용 의궤는 25종 39책이 전하고 있는데 일제강점기 자료가 다수를 차지한다.
    장서각 바로가기
장서각 소장 유일본 의궤(39종, 도서번호 순)
장서각 소장 유일본 의궤(39종, 도서번호순), 서명과 도서번호 제공
서명 도서번호
태조정종추상존호도감의궤 2-2194
종묘의궤 2-2195-1,2
종묘의궤속록 2-2195-3
종묘의궤속록 2-2196
종묘의궤속록 2-2197
종묘의궤속록 2-2202
종묘의궤속록 2-2203
고종명성황후부묘주감의궤 2-2217
고종명성황후부묘주감의궤 2-2218
고종홍릉산릉주감의궤 2-2284
고종홍릉산릉주감의궤 2-2285
단의빈묘소도감의궤 2-2312
고종명성황후홍릉천봉산릉주감의궤 2-2387
고종명성황후홍릉천봉산릉주감의궤 2-2388
고종명성황후홍릉천봉주감의궤 2-2389
고종명성황후홍릉천봉주감의궤 2-2390/2391
저승전수리도감의궤 2-2485
고종대례의궤 2-2626
고종대례의궤 2-2627
청근현주길례의궤 2-2725
태조영정모사도감의궤 2-2766
혜경궁진찬소의궤 2-2882
고종빈전혼전주감의궤 2-2918
고종빈전혼전주감의궤 2-2919
고종어장주감의궤 2-2920
고종어장주감의궤 2-2921/2922
순종빈전혼전주감의궤 2-2975
순종어장주감의궤 2-2976
순종어장주감의궤 2-2977
순헌귀비빈궁혼궁의궤 2-2978
순헌귀비빈궁혼궁의궤 2-2979
순헌귀비예장의궤 2-2980
인숙원빈예장의궤 2-2998
효종영릉수개도감의궤 2-3566
현종숭릉수개도감의궤 2-3568
익조지릉정자각개건의궤 2-3593
선원보략수정시교정청의궤 2-3842
선원보략수정의궤 2-3857
종묘의궤별록 2-5210

 장서각 소장 의궤에는 ‘고본 의궤’ 11종 21책이 포함되어 있다. 고본 의궤는 의궤가 최종적으로 완성되기 전에 중간 단계에서 생산된 의궤를 지칭하는 용어이다. 현전하는 고본 의궤는 대부분 일제강점기에 제작되었는데, 의궤의 제작 과정 및 일제강점기 의궤의 특징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장서각 소장 의궤(11종, 제작연대 순)
장서각 소장 稿本 의궤(11종, 제작연대 순), 서명과 제작연대, 도서번호 제공
서명 제작연대 도서번호
순헌귀비원소의궤 1911년 2-2342
순헌귀비빈궁혼궁의궤 1911년 2-2979
고종홍릉산릉주감의궤 1919년 2-2285
고종명성황후홍릉천봉산릉주감의궤 1919년 2-2387
고종명성황후홍릉천봉주감의궤 1919년 2-2390/2391
고종빈전혼전주감의궤 1919년 2-2918
고종어장주감의궤 1919년 2-2921/2922
고종명성황후부묘주감의궤 1921년 2-2217
순명황후유릉천봉도감의궤 1926년 2-2338
순종어장주감의궤 1926년 2-2977
순종순명황후부묘주감의궤 1928년 2-4772

 장서각 소장 의궤에는 규장각 소장 의궤와 마찬가지로 ‘봉사지인’. ‘일품봉사지인’, ‘이품봉사지인’, ‘예조지장’, ‘장생전도제조지인’, ‘호조지인’, ‘종부시인’ 등 다양한 관인들이 찍혀 있다. 이 관인들은 의례의 운영과 의궤의 편찬을 주도한 도감의 위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